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컬 악기 익사이터 사용방법

by 데일리 인포메이션 2022. 1. 25.
반응형

 

익사이터를 잘 다루게 되면 이펙터 조합으로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배음의 추가의 경우 믹스 다운의 마무리 단계에서 보컬이 반주악기에 묻혀서 이퀄라이저로도 치러가 불가능할 정도로 존재감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떄에 자주 사용하는 이펙터가 익사이터입니다. 스튜디오에서 많이 사용하는 APHEX의 AURAL 익사이터는 저의 경우에도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DAW플러그인 중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인핸서라는 이펙터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인핸서를 하드웨어 식사이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설정 방법을 알아봐야합니다. 익사이터에는 2종류가 있습니다 배음을 추가하는 타입과 위상을 컨트롤하는 타입입니다. 배음을 추가하는 타입은 녹음할 때 상실된 고음 성분을 디스토션을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배음으로 보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실제로 배음을 추가하는 설정을 살펴보면 우선 억스를 작성해서 디스토션과 이퀄라이저를 인서트합니다. 그리고 디스토션으로 배음을 발생시키고 이퀄라이저를 필터로 사용해서 저음역과 고음역을 과감하게 커트합니다. 샘플에서는 700Hz 이하, 7khz 이상을 19dB/Oct 로 커트하면됩니다. 이퀄라이저의 대역포긍로 음색이 변할 수 있으므로 보컬의 음역에 맞춰서 설정하여야합니다. 이것을 보컬 트랙과 믹스하면 선명함이 훨씬 더 살아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위상의 컨트롤의 경우 위상을 컨트롤 하는 타입의 설정방법입니다. 마찬가지로 억스를 생성하고, 이번에는 페이저와 이퀄라이저를 인서트합니다. 페이저는 피드백과 깊이를 0으로 설정하고 위상을 90도로 돌립니다. 그리고 센트를 2kHz로 성정해보자 그런 다음에 이퀄라이저로 5kHz 이하를 HPF 하이패스 필터로 커트하고 위상을 반전시킵니다. 이것을 보컬 트랙과 적절하게 믹스합니다. 공간계 이펙터를 딜레이로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익사이터와 인핸서도 다른 이펙터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가 있습니다. 보컬의 윤곽을 살리기 위한 개성적인 이펙터를 스스로 만들어 보게되면 익사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더욱 익숙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배음의 추가의 경우 처리전과 처리후가 다릅니다. 우선 배음을 추가하는 타입의 익사이터를 만들어봅시다 디스토션을 거친 다음 이퀄라이저로 고음역과 저음역을 과감하게 커트하고 원래의 보컬 트랙과 믹스합니다. 위상 컨트롤의 처리전과 후는 페이저로 위상을 90도로 돌린 다음에 이퀄라이저로 5khz 이하를 커트합니다. 그리고 위상을 반전시킨 사운드를 원래의 보컬 트랙과 믹스를합니다. 익사이터의 정의 경우 소리에 힘을 넣어서 위상을윤곽을확실하게하는이펙터로소리의고음역배음을강조시킨다음거기서

선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신호의 위상각을 응요하는 방식과 신호를 왜곡시키는데 의해 배음을 얻는 방시입니다.

익사이터는 여러 악기에 사용할 수 있지만 믹싱에 오히려 크게 방해가 될 수 있으니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